반응형 우울증2 무기력 상태의 특징 및 영향 그리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에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지금 자신의 상황을 바꾸고 싶지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눈앞에 해야 할 일은 많은데 동기 부여가 나오지 않는다. 그런 자신을 그냥 게으른 사람으로 간주하며 점점 우울해 버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쩌면 그것보다는 게으름이 아니라 무기력 상태에 빠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무기력 상태의 특징, 원인과 극복 팁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무기력 상태의 특징 무기력 상태에 빠져 있다고 해서, 본래의 성격이 "나는 뭐든 일에 대해 무기력해"라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지금까지 쌓아온 노력이 실현되지 않거나 자신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이 있다고 느껴지거나 자신을 부정하는 마음이 커져 행복 의욕이 감퇴하는 게 무기력 상태의 특징입니다... 2023. 3. 13. 외로움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 외로움은 단지 슬픔만을 동반하지 않는다. 우리를 일찍히 병들게 하고 고통받게 만든다. 몇몇 심리학자들은 외로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하루에 15개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과 같이 비유한다. 그리고 외로움은 강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어 주위 사람들을 고통받게 한다. 비만의 정도는 측정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한 사람의 외로움의 정도, 그 감정은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주로 심리학자들은 외로움을 가진 사람을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정의한다. 외로움은 곁보기에는 친구, 가족들과 잘 어울리는 사람에게도 나탈 수 있으며 우리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외로움이 항상 나쁘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외로움이 오랜 기간 지속된다면 분명 문제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미국 비영리 단체인 카이저 가족 재단 (KAISER FAMIL.. 2023. 3.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