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 상태의 특징 및 영향 그리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에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지금 자신의 상황을 바꾸고 싶지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눈앞에 해야 할 일은 많은데 동기 부여가 나오지 않는다. 그런 자신을 그냥 게으른 사람으로 간주하며 점점 우울해 버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쩌면 그것보다는 게으름이 아니라 무기력 상태에 빠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무기력 상태의 특징, 원인과 극복 팁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무기력 상태의 특징
무기력 상태에 빠져 있다고 해서, 본래의 성격이 "나는 뭐든 일에 대해 무기력해"라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지금까지 쌓아온 노력이 실현되지 않거나 자신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이 있다고 느껴지거나 자신을 부정하는 마음이 커져 행복 의욕이 감퇴하는 게 무기력 상태의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열심히 노력해 왔지만 기대했던 성과와 평가를 못했다" 등이 있습니다.
즉, 목표를 향해 누구보다 많은 노력을 하는 진지한 사람이 무기력 상태에 빠지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무리력 상태가 지속되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노력해 보고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예전만큼의 의욕이 나오지 않는다"
만성 무기력 상태는 여러 가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작업
무기력 상태는 자신이 마무리해야 하는 일에 집중하고 촉구하는 힘이 듭니다. 또한, 어떻게든 붙잡으려 하지만 낮은 동기 부여는 집중을 방해합니다. 그 결과로 일을 끝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실수가 잦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더 큰 스트레스를 느껴버립니다. 다른 포스팅에도 말씀드린바 있지만 스트레스는 만성적으로 모든 건강을 해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인간관계
무기력 상태는 인간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그냥 나는 어리석고 무능한 게 아닌가?"
실제로 주위에게는 게으르게, 어리석게, 무능하게 보이고 싶지 않기에 스트레스만 쌓여가며 자신을 숨기려는 성향을 보이며 주위 사람들로부터 자신 모르게 자신을 격리시키는 행위를 보이게 됩니다.
우울증과 같은 다른 질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무기력 상태로 인한 일과 인관 관계의 스트레스는 축적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내면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무기력 상태인 사람의 경우 "나에게는 그냥 동기부여가 없을 뿐"이라고 본인도 그렇게 상태를 무겁게 파악하고 있지 않는 성향이 크기 때문에 개선해 보려 하지 않게 되 더욱 증상이 악화돼 우울증 등 다른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기력 상태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목표 설정
기대만 큰 결과를 낼 수 없었던 등 일이 원인으로 무기력 상태에 빠져 버렸을 경우 빠르게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노력을 하는 것이 극복 방법의 하나입니다.
본업의 일에 더 이상 아무것도 기대할 수 없다면, 부업이나 다른 경로로 보람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매일의 반복되는 일상생활 속에서, 무엇인가 하나라도 생생하게 노력하는 것은 무기력 상태로부터 빠져나가는 도움이 됩니다.
점점 힘들어지는 인간관계의 개선과 하루하루의 소소한 목표 설정을 위해 책을 읽는 것을 추천드리며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이라는 책을 소개해 드립니다. (절대 홍보성 글이 아닌 필자의 무기력 상태 극복 경험과 개인적인 바람입니다)
다른 환경
무기력 상태를 낳은 원이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지는 방법도 좋습니다. 이직이나 독립적인 일을 하는 것으로 일이나 인간관계를 리셋하여 재실행할 수 있습니다.
상담
이직이나 독립 등 이런 과감한 것을 실천 또는 원래 잘 삶에 보람을 잘 느끼지 못하는 분은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마음의 전문가인 카운슬러가 당신과 마주하고 함께 해결 방법을 찾아 줄 것입니다.